조이 컨트롤

절연파괴(Insulation Breakdown)란 전기 회로에서 도체나 장비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 재료가 그 절연 능력을 상실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경로가 형성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본문

용어해설

절연파괴(Insulation Breakdown)란 전기 회로에서 도체나 장비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 재료가 그 절연 능력을 상실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경로가 형성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조이컨 2025. 5. 5. 14:08

절연파괴(Insulation Breakdown)의 정의와 대책

절연파괴의 정의

절연파괴(Insulation Breakdown)란 전기 회로에서 도체나 장비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 재료가 그 절연 능력을 상실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경로가 형성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절연체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도체 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인체를 감전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절연체에 가해지는 전기적 스트레스(전압)가 그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전기적 강도인 **절연 내력(Dielectric Strength)**을 초과하게 되면, 절연 재료 내부에서 전자의 가속, 충돌 및 이온화가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고 결국 절연 상태가 파괴됩니다.

절연파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전기적 파괴 (Electrical Breakdown):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전압이 인가되거나 전기장 강도가 절연 내력을 초과하여 급격하게 발생하는 파괴입니다. 공기 중의 방전(Arcing)이나 섬락(Flashover)도 넓은 의미의 전기적 파괴에 해당합니다.
  2. 열적 파괴 (Thermal Breakdown): 절연체 내부의 누설 전류나 부분 방전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로 인해 절연체의 저항이 낮아져 더 많은 전류가 흘러 온도가 더욱 상승하는 연쇄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괴입니다.
  3. 부분 방전 (Partial Discharge - PD): 절연체 내부의 기포나 불순물, 표면의 오염 등으로 인해 절연체 전체를 관통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미세한 방전입니다. 부분 방전은 절연체를 서서히 열화시켜 궁극적으로 완전 절연파괴를 유발합니다.
  4. 트래킹 (Tracking): 절연체 표면에 수분이나 오염 물질이 존재할 때, 전압 스트레스와 함께 표면에 탄화된 전도성 경로가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도성 경로가 확장되어 완전한 절연파괴로 이어집니다.

절연파괴의 원인

절연파괴는 단일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절연체의 열화를 가속화시키고 최종 파괴에 이르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도한 전기적 스트레스:
    • 정상 운전 전압 이상의 과전압: 개폐 서지, 낙뢰 서지, 접지 사고 등으로 인한 순간적인 이상 전압.
    • 고조파 전압: 인버터 등 비선형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고조파 성분은 전압 파형을 왜곡시키고 특정 부위에 전압 스트레스를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 절연체 재료의 열화 (노화):
    • 열적 노화: 고온 환경에서의 장시간 사용은 절연 재료의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키고 기계적/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킵니다.
    • 전기적 노화: 장시간 전압 스트레스 인가, 특히 부분 방전에 의한 점진적인 절연 손상.
  • 환경적 요인:
    • 습기: 절연체의 절연 저항을 크게 낮추고 표면 트래킹을 유발합니다.
    • 오염: 먼지, 염분, 화학 물질 등의 오염은 절연체 표면에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거나 절연 특성을 저하시킵니다.
    • 자외선(UV), 방사선: 일부 절연 재료의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켜 노화를 촉진합니다.
  • 기계적 스트레스: 외부 충격, 진동, 케이블의 과도한 구부림 등 물리적인 힘에 의한 절연 손상.
  • 제조 결함: 절연체 내부의 기포(Void), 불순물 혼입, 두께 불균일 등 제조 과정에서의 품질 문제.
  • 시공 불량: 케이블 종단 처리나 접속 불량, 불충분한 이격 거리 확보, 설치 중 절연체 손상 등.

절연파괴의 대책

절연파괴를 방지하고 전기 설비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계, 제작, 시공, 운전 및 유지보수 전 단계에 걸쳐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1. 설계 및 제작 단계:
    • 충분한 절연 설계: 예상되는 최고 운전 전압 및 과전압 수준,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충분한 절연 거리 및 절연체 두께를 확보합니다.
    • 고품질 절연 재료 선정: 우수한 절연 내력, 열적/환경적 안정성, 기계적 강도를 갖춘 절연 재료를 선택합니다.
    • 전계(Electric Field) 완화 설계: 케이블 종단부의 스트레스 콘(Stress Cone)과 같이 전기장 집중을 완화하는 구조를 적용합니다.
    • 제조 품질 관리: 절연체 내부에 결함(기포, 불순물)이 없도록 제조 공정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2. 시공 단계:
    • 정확한 시공: 케이블 접속, 종단 처리 등의 표준 시공 절차를 준수하여 절연 파괴의 취약점을 만들지 않습니다.
    • 손상 방지: 시공 중 절연체가 기계적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환경 고려: 습기나 오염 물질로부터 절연체가 보호되도록 설치 환경을 관리합니다.
  3. 운전 및 유지보수 단계:
    • 전압 관리: 시스템 운전 전압을 정격 범위 내로 유지하고, 서지 흡수기(Surge Arrester) 등을 설치하여 외부 이상 전압으로부터 설비를 보호합니다.
    • 온도 관리: 설비가 허용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운전되지 않도록 냉각 시스템을 점검하고 부하를 적절히 관리합니다.
    • 환경 관리: 절연체 표면의 오염 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제습 대책을 강구합니다.
    • 정기적인 절연 진단 및 시험:
      • 절연 저항 측정 (Megger Test): 절연체의 절연 성능 저하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시험입니다.
      • 부분 방전 측정: 절연체 열화의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을 감지하여 사전에 문제를 파악합니다.
      • 유전 정접(Tan Delta) 측정: 절연체의 유전 특성 변화를 통해 절연 상태를 진단합니다.
      • 내전압 시험 (Hi-Pot Test): 일정 시간 동안 규정된 시험 전압을 가하여 절연체의 전기적 강도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주의: 시험 전압이 높으므로 절연체를 스트레스 줄 수 있습니다.)
      • 육안 점검: 절연체 표면의 오염, 손상, 트래킹 흔적 등을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 결함 발견 시 신속한 조치: 진단 결과 절연 성능 저하 징후나 결함이 발견되면 즉시 보수하거나 교체하여 사고를 예방합니다.

절연파괴는 전기 설비 고장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인명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절연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예방 활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계전압(Critical Voltage)은 전기 공학에서 특정 전기적 현상이 시작되거나 어떤 기준점에 도달하는 최소한의 전압 값을 의미하며, 문맥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기 설비의 절연 성능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될 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집니다.  (0) 2025.05.05
제3고조파는 전기 회로에서 기본 주파수의 3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고조파 성분입니다. 교류 전원의 이상적인 파형은 기본 주파수(한국에서는 보통 60Hz)를 가진 순수한 정현파입니다. 하지만 실제 전력 시스템에서는 비선형 부하 등으로 인해 기본파 외에 여러 배수의 주파수를 가진 성분들이 포함되는데, 이를 고조파(Harmonic)라고 합니다.  (0) 2025.05.04
전기적 차폐는 공간의 특정 영역을 외부의 전기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자기 차폐의 한 형태로, 특히 정전기장이나 저주파 전기장에 대해 효과적입니다.  (1) 2025.05.04
전기적 과도현상(Electrical Transient Phenomena)은 전기 회로가 하나의 안정된 상태(정상 상태)에서 다른 안정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전기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0) 2025.05.04
'내선규정(內線規程)'이라는 용어는 과거에 주로 사용되었던 전기 설비 관련 기술 지침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의 법적 효력을 가지는 공식 규정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과는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0)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