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제어종류
- 전력측정
- 인버터원리
- 접지
- 누전차단기 감도전류
- 전자접촉기
- 역률
- hmi선정
- IEC
- PLC
- 시스템 안정성 확보
- 전선
- HMI
- 역률 개선
- 인터록회로
- 배선용차단기
- MC
- 누전차단기 선정
- 퓨즈
- 누전
- 누설 전류 측정
- MCCB
- 유효전력
- 릴레이구조
- 절연파괴
- 누전차단기
- 감전보호
- ELCB
- hmi종류
- mccb선정
- Today
- Total
목록전기이론/베이직이론 (8)
조이 컨트롤

전기회로의 기본적인 마지막 구성 요소인 **전선(Electric Wire)**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전선은 전기회로에서 전원, 부하, 스위치 등 다양한 전기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경로)을 만들어주는 도체입니다.쉽게 말해, 전기가 다니는 '도로'나 '통로' 역할을 합니다. 주요 역할 및 특징전류 경로 제공: 전선은 전기 저항이 매우 낮은 물질(주로 구리나 알루미늄)로 만들어져, 전기에너지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회로 연결 및 완성: 전원(+)극에서 출발한 전류가 부하를 거쳐 다시 전원(-)극으로 돌아오는 닫힌 회로(폐회로)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전선이 없다면 회로가 완성되지 않아 전류가 흐를 수 없습니다.신호 전달: 전력 공급 목적 외에..

전기회로의 또 다른 중요한 구성 요소인 **부하(Load)**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부하는 전기회로에서 전기에너지를 소비하여 유용한 다른 형태의 에너지(빛, 열, 운동 에너지, 소리 등)로 변환하는 모든 장치나 부품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전원이 공급하는 전기를 '사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어떤 '일'을 하는 부분을 부하라고 합니다. 주요 역할 및 특징에너지 소비 및 변환: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너지를 소모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것이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주된 목적이 됩니다.저항(또는 임피던스) 제공: 부하는 전류의 흐름에 대해 전기적인 저항(Resistance)이나 임피던스(Impedance - 교류 회로에서의 저항 성분)를 가집니다. 이 저항/임피던스 때문에 전기에너지가 부하에서 다..

전기회로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전원(Power Source)**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전원은 전기회로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회로 내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압(Voltage), 즉 **전기적인 압력(전위차)**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역할 및 특징에너지 공급: 화학 에너지(배터리), 역학적 에너지(발전기), 빛 에너지(태양 전지) 등 다른 형태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회로에 지속적으로 공급합니다.전압 생성: 회로 양단에 전위차(전압)를 유지시켜 전하(전자)가 한 방향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왕복하며 이동하도록(즉, 전류가 흐르도록) 합니다.전류 구동: 생성된 전압은 회로에 연결된 부하(저항, 모터, 램프 등)를 통해 전류를 밀..

전기회로(Electric Circuit)란전류(electric current)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닫힌 경로를 말합니다.쉽게 말해, 전기가 출발점(전원)에서 나와서 특정 부품(부하)을 거쳐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연결된 길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전기회로의 주요 구성 요소:전원 (Power Source):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예: 건전지, 배터리, 발전기, 가정용 전원 콘센트 등) 전압을 제공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부하 (Load): 전기에너지를 소비하여 빛, 열, 동력 등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예: 전구, 저항기, 모터, 발열체 등) 우리가 전기를 사용하는 목적이 되는 부분입니다.전선 (Conducting Path / Wire..

전자계전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로, 전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접점을 움직여 회로를 연결하거나 끊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흔히 **릴레이(Relay)**라고도 불립니다.전자계전기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됩니다.코일 (Coil):도선을 원통형으로 감아 만든 전자석입니다.인가된 전기 신호(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킵니다.철심 (Core):코일 내부에 위치한 강자성체로, 자기장을 집중시키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아마추어 (Armature):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쇠편입니다.접점을 움직이는 연결 부품이 부착되어 있습니다.접점 (Contacts):실제로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부분입니다.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A접점 (N..

스위치 C접점 (Common, 전환 접점) 이란?스위치의 C접점은 Common (공통)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공통 단자가 평상시에는 B접점(Normally Closed, NC)과 연결되어 있다가 스위치가 작동하면 A접점(Normally Open, NO)과 연결되는 전환 접점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하나의 공통 단자를 기준으로 평소에는 한쪽(B접점)에 연결되어 전기가 통하다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다른 쪽(A접점)으로 연결이 바뀌어 전기가 통하는 경로가 전환되는 접점입니다.C접점은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SPDT 스위치는 하나의 입력(극, Pole)과 두 개의 출력(투척, Throw)을 가지며, C접점이 이 입력을 두 개의 출력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