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제어종류
- mccb선정
- MCCB
- hmi선정
- melsec-fx
- 역률
- 릴레이구조
- 유효전력
- 퓨즈
- MC
- 인버터원리
- 미쓰비시plc 특징
- xgk
- slc 500
- 전력측정
- melsec iq-r
- xbm
- ls plc종류
- HMI
- melsec iq-f
- melsec-l
- ab plc 특징
- 인터록회로
- 배선용차단기
- hmi종류
- glofa-gm
- 미쓰비시plc 종류
- melsec safety
- 전선
- 전자접촉기
- Today
- Total
목록심화학습 (7)
재미있는 콘트롤

I. 유량계 개요1.1. 유량계의 정의 및 기본 목적유량계(Flowmeter)는 액체나 기체와 같이 관로나 개수로 등 특정 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Fluid)의 흐름 속도 또는 양을 측정하는 계측 기기를 통칭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양, 즉 '순간 유량(Flow Rate)'을 측정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흘러간 유체의 총량인 '적산 유량(Totalized Flow)'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유량계의 근본적인 목적은 산업 공정 또는 시스템 내에서 두 지점 사이를 이동하는 가스나 액체의 흐름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유체의 이동량을 아는 것을 넘어, 공정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며,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고, 원자재 및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며, 최종적으로는 ..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FD) 선정에 대한 포괄적 기술 가이드서론컨텍스트: 현대 산업 및 상업 시설 전반에 걸쳐 교류(AC) 전동기는 동력 변환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펌프, 팬, 컨베이어, 압축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AC 모터는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고정 속도 운전 방식은 에너지 효율성 측면이나 정밀한 공정 제어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VFD 소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ariable Frequency Drive, VFD) 기술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VFD는 가변 속도 드라이브(VSD), 조정 가능 속도 드라이브(ASD), 조정 가능 주파수 드라이브(AFD) 또는 문맥에 따라 단순히 인버터(Inverter)라고도 불리며 ..

전력 시스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역률 개선1. 개요전기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은 현대 산업 및 상업 시설 운영의 핵심 요소이며, 이 효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역률(Power Factor, PF)이다. 역률은 공급된 전력이 실제로 유용한 일을 수행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낮은 역률은 전력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의미한다. 낮은 역률은 동일한 유효 전력(kW)을 공급하기 위해 더 많은 피상 전력(kVA)과 전류를 필요로 하게 만들어, 전력 손실 증가, 전기 요금 상승, 설비 용량의 비효율적 활용, 전압 강하 심화 등 다양한 기술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방안이 역률 개선(Power Factor Correction, PFC)이며, 가장 보편적이고 경제적인..

산업 공정 제어용 트랜스미터 선정 가이드서론컨텍스트: 현대 산업 자동화에서 정확한 공정 측정은 효율성, 안전성 및 품질 관리의 핵심 요소입니다. 공정 변수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제어하는 능력은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트랜스미터 정의: 산업 공정 제어 트랜스미터는 센서가 측정한 물리적 공정 변수를 표준화된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예: PLC, DCS)으로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물리적 공정과 제어 시스템 사이의 중요한 다리 역할을 수행합니다. 선정의 중요성: 올바른 트랜스미터를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적절한 트랜스미터 선택은 부정확한 측정, 제어 성능 저하, 잠재적 안전 위험, 유지보수 비용 증가, 운영 비용 ..

전자 시스템에서의 전기적 노이즈 대책 종합 가이드1. 전기적 노이즈 소개1.1. 전기적 노이즈의 정의 및 중요성전기적 노이즈는 전자 시스템 내에서 원하는 신호를 방해하거나 왜곡시키는 모든 종류의 원치 않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이는 전압 또는 전류의 불규칙적인 변동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 그 특성은 종종 무작위적이고 산발적이어서 특정 시점의 값을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노이즈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특성화해야 한다. 절대 영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모든 전기 시스템에 노이즈가 내재적으로 존재하므로, 완전히 "노이즈 없는" 회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노이즈"와 "간섭(Interference)"이라는 용어는 종종 혼용되지만, 엄밀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노이즈는 시스템 내부의 물리적 현상..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I. 서론A. PLC의 정의 및 산업적 맥락기술 및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PLC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어이다. 이는 사용자가 제어 로직을 프로그래밍하여 기계나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디지털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미국 전기공업협회(NEMA)는 PLC를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로직, 시퀀스,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여러 종류의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지털 동작의 전자 장치"로 정의한다. 이 정의는 PLC가 단순한 논리 처리 장치를 넘어, 타이머, 카운터, 산술 연산 등 다양한 제어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