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선
- 내전압시험기와 차이점
- 인버터원리
- hmi종류
- 전기 제품 안전 규격 시험
- 퓨즈
- 릴레이구조
- 제어종류
- 절연파괴
- HMI
- 인터록회로
- hmi선정
- MC
- 유효전력
- 접지
- 안전 스위치의 규격
- 배선용차단기
- 절연저항측정기
- 비파괴적 진단
- 역률
- 안전스위치 종류
- 역률 개선
- 고전압 스트레스
- 전력측정
- mccb선정
- 안전 스위치의 작동 원리
- 누설 전류 측정
- 안전 스위치의 적용
- 전자접촉기
- MCCB
- Today
- Total
조이 컨트롤
CC-Link란 본문
CC-Link (Control & Communication Link) 개요
CC-Link(Control & Communication Link)는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가 개발하고 현재는 **CC-Link 협회(CLPA - CC-Link Partner Association)**에서 관리하는 개방형(Open) 산업용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공장 자동화(Factory Automation) 환경에서 PLC, HMI, 로봇, 서보 드라이브, 인버터, 센서, 밸브 등 다양한 자동화 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제어 및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CC-Link는 시대의 요구에 맞춰 시리얼 기반에서 이더넷 기반으로 발전해 왔으며,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CC-Link 패밀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1. CC-Link (기본, 시리얼 기반 필드버스)
가장 기본적인 CC-Link는 RS-485 통신 기반의 필드버스 네트워크입니다.
- 고속 통신: 최대 10 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네트워크 길이에 따라 속도 변경).
- 결정론적 통신: 마스터 국(Master Station)이 네트워크의 모든 슬레이브 국(Remote I/O, Remote Device, Intelligent Device Station)에게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폴링(Broadcast Polling)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예측 가능한 정시성(Determinism)을 보장합니다. 이는 실시간 제어에 필수적입니다.
- 데이터 처리: ON/OFF 신호 같은 비트 데이터와 수치 데이터 같은 워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 네트워크 구성: 버스(Bus) 토폴로지 형태이며, 전용 CC-Link 케이블(보통 3선식 차폐 트위스트 페어)을 사용합니다. 리피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최대 64개의 슬레이브 국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제외).
- 높은 신뢰성: 슬레이브 국의 자동 복귀 기능, 라인 이상 감지, 풍부한 RAS(Reliability, Availability, Serviceability) 기능 등을 통해 네트워크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 개방성: CLPA를 통해 표준이 관리되며, 다양한 제조사에서 CC-Link 호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2. CC-Link 패밀리 (확장된 네트워크)
기본 CC-Link 외에도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춰 파생된 네트워크들이 있습니다.
- CC-Link LT: 배선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센서 레벨 네트워크(비트 레벨 통신 중심).
- CC-Link Safety: 기본 CC-Link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 제어 신호(Safety Signal)를 전송할 수 있도록 안전 기능을 추가한 네트워크 (IEC 61508 등 안전 규격 준수).
- CC-Link IE (Industrial Ethernet): 성능과 기능을 대폭 향상시킨 이더넷 기반의 차세대 네트워크입니다.
- CC-Link IE Control: 1 Gbps의 초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컨트롤러 레벨 네트워크. 주로 PLC 간의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나 하위 네트워크들을 통합하는 백본(Backbone) 네트워크로 사용됩니다. 링(Ring), 라인(Line), 스타(Star) 토폴로지를 지원하며, 토큰(Token) 전달 방식을 사용하여 정시성을 보장합니다.
- CC-Link IE Field: 1 Gbps의 초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필드 레벨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필드 장치(서보, 인버터, 리모트 I/O, 로봇 등)를 직접 연결합니다. 마찬가지로 토큰 전달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제어에 필요한 정시성을 확보하면서, 필요에 따라 비주기적인 메시지 통신(Transient)도 지원합니다.
- CC-Link IE Field Basic: 표준 100 Mbps 이더넷 통신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필드 네트워크입니다. 별도의 전용 ASIC 없이 범용 이더넷 포트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성능은 CC-Link IE Field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장점
- 고속 성능: 특히 CC-Link IE는 1 Gbps의 속도를 제공하여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빠른 제어 응답이 가능합니다.
- 결정론적 통신: 예측 가능한 통신 주기로 실시간 제어에 적합합니다.
- 신뢰성: 다양한 RAS 기능과 이중화 구성(CC-Link IE Control 링 토폴로지)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지원합니다.
- 개방성 및 호환성: CLPA를 통해 다양한 파트너사 제품과 호환됩니다.
- 아시아 시장 강세: 특히 미쓰비시 PLC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널리 채택되어 있습니다.
단점
- 시리얼 CC-Link의 한계: 기본 CC-Link는 이더넷 기반에 비해 속도와 데이터 처리량에 한계가 있습니다.
- 전용 케이블 (시리얼): 기본 CC-Link는 전용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 글로벌 보급률: 아시아 외 지역에서는 PROFINET이나 EtherNet/IP 등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 (2025년 4월 기준)
CC-Link 패밀리, 특히 **CC-Link IE (Control 및 Field)**는 스마트 팩토리, IIoT(산업용 사물인터넷) 등 고성능 및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최신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이는 PROFINET, EtherNet/IP 등 다른 주요 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과 경쟁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시리얼 기반 CC-Link 역시 여전히 많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신규 설비 투자 시에는 성능과 확장성이 우수한 CC-Link IE로 전환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요약하자면, CC-Link는 미쓰비시 전기가 주도하여 개발된 개방형 산업용 네트워크이며, 시리얼 기반의 CC-Link와 초고속 이더넷 기반의 CC-Link IE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CC-Link 패밀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herNet/IP란 (0) | 2025.04.15 |
---|---|
모드버스TCP란 (0) | 2025.04.15 |
디바이스넷(DeviceNet)이란 (0) | 2025.04.15 |
프로피버스DP 란 (0) | 2025.04.15 |
모드버스RTU(Modbus RTU)란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