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인터록회로
- 절연파괴
- 퓨즈
- 역률 개선
- 릴레이구조
- 인버터원리
- 접지
- 안전 장치 및 제어 시스템의 안전
- 전자접촉기
- MC
- hmi종류
- 안전 설계 일반 원칙
- 배선용차단기
- 역률
- 인간 공학 관련 표준
- HMI
- 누설 전류 측정
- 제어종류
- IEC
- 사용자 정보 제공
- mccb선정
- 방호 장치 관련 표준
- 전력측정
- 비상 정지 기능
- 전선
- hmi선정
- MCCB
- 특정 기계류 안전 표준
- 기계 설비 안전 규격
- 유효전력
Archives
- Today
- Total
조이 컨트롤
전자접촉기 선정시 고려사항 본문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MC)는 제어 신호(주로 코일 전압)를 이용하여 주 회로의 전력을 개폐(ON/OFF)하는 전기 제어 기기입니다. 주로 전동기(모터)의 기동/정지 제어에 널리 사용되지만, 히터, 조명, 커패시터 뱅크 등 다양한 전기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데에도 쓰입니다.
전자접촉기를 올바르게 선정하는 것은 설비의 안정적인 운전, 기기 보호, 그리고 수명 연장에 중요합니다.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하의 종류 및 사용 카테고리 (Load Type and Utilization Category):
-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자접촉기는 제어하려는 부하의 종류(저항성, 유도성 등)와 운전 조건(개폐 빈도, 기동/정지 방식 등)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이 크게 다릅니다. IEC 60947-4-1 표준에 따른 주요 사용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AC-1: 비유도성 또는 약간의 유도성 부하, 저항로 (예: 히터). 투입/차단 전류가 부하 전류와 거의 같습니다.
- AC-3: 농형 유도 전동기(가장 일반적인 모터)의 기동 및 운전 중 차단. 기동 시 정격 전류의 6~8배에 달하는 전류를 투입하고, 운전 중 정격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모터 제어용으로 선정 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카테고리입니다.
- AC-4: 농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 플러깅(급제동/역상제동), 인칭(촌동). 매우 가혹한 조건으로, 높은 개폐 능력과 내구성이 요구됩니다.
- 기타: AC-2(슬립링 모터), AC-5a/b(방전등/백열등), AC-6a/b(변압기/커패시터)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 주의: 전자접촉기에 표기된 정격 전류는 특정 카테고리(주로 AC-1 또는 AC-3) 기준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어하려는 부하의 사용 카테고리에 맞는 정격 전류를 확인해야 합니다. AC-1 정격만 보고 AC-3 부하에 적용하면 용량 부족으로 소손될 수 있습니다.
-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자접촉기는 제어하려는 부하의 종류(저항성, 유도성 등)와 운전 조건(개폐 빈도, 기동/정지 방식 등)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이 크게 다릅니다. IEC 60947-4-1 표준에 따른 주요 사용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격 사용 전류 (Rated Operational Current, Ie):
- 위에서 결정된 사용 카테고리 하에서 전자접촉기가 주 접점을 통해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전류입니다. 제어하려는 부하의 정격 전류(특히 모터의 경우 전부하 전류 FLA)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충분한 여유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정격 사용 전압 (Rated Operational Voltage, Ue):
- 전자접촉기의 주 접점이 사용될 회로의 공칭 전압(예: 220V, 380V, 440V)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 조작 코일 전압, 주파수 및 종류 (Control Coil Voltage, Frequency, and Type):
- 전자접촉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회로의 전압 및 주파수와 일치해야 합니다 (예: AC 24V, AC 110V, AC 220V, DC 24V, DC 110V 등).
- 교류(AC) 코일인지 직류(DC) 코일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코일의 허용 전압 변동 범위, 소비 전력(투입 시/유지 시) 등도 필요시 고려합니다.
- 주 접점 극수 (Number of Main Poles):
- 제어하려는 전원 회로 구성에 맞춰야 합니다.
- 3상 부하 (예: 3상 모터): 일반적으로 3극(3P) 사용
- 단상 부하: 2극(2P) 또는 경우에 따라 3극 중 2극 사용
- 4선식 회로: 4극(4P) 사용
- 보조 접점 구성 및 수량 (Auxiliary Contacts):
- 제어 회로 구성에 필요한 보조 접점의 종류(a접점: Normally Open, b접점: Normally Closed)와 수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 용도: 자기 유지 회로 구성, 인터록 회로(예: 정역 운전 시 동시 투입 방지), 운전/정지 상태 표시 램프 구동, PLC 등 상위 제어 시스템과의 신호 교환 등.
- 기본 부착된 보조 접점 외에 추가 보조 접점 유닛을 부착할 수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 개폐 빈도 및 내구성 (Switching Frequency and Durability):
- 전자접촉기가 얼마나 자주 동작하는지(개폐 빈도) 고려해야 합니다. 빈번한 개폐(예: 인칭 운전)가 요구되는 경우, 전기적 및 기계적 수명이 긴 제품을 선정해야 합니다. 제조사 카탈로그에 개폐 내구 횟수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 보호 장치와의 조합 (Coordination with Protection Devices):
- 특히 모터 보호 시, 전자접촉기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 THR)**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자접촉기와 직접 부착(직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되는 모델인지 확인하면 설치가 용이합니다.
- 설치 환경 (Installation Environment):
- 주위 온도, 습도, 분진, 진동 등 설치 장소의 환경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고온 환경에서는 정격 전류를 저감(Derating)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크기 및 설치 방식 (Size and Mounting):
- 제어반(판넬) 내 설치 공간에 맞는 물리적 크기인지 확인합니다. 설치 방식이 DIN 레일 취부 방식인지, 나사 고정 방식인지 확인합니다.
- 규격 및 인증 (Standards and Certifications):
- 관련 표준(예: IEC 60947-4-1, KS C 4504)에 적합하고 필요한 인증(예: KC, UL, CE)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합니다.
- 부속 장치 (Accessories):
- 코일 소자 시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억제하기 위한 서지 흡수기(Surge Absorber/Suppressor), 정역 운전 등에서 기계적 동시 투입을 방지하는 인터록 유닛(Interlock Unit) 등 필요한 부속 장치가 있는지, 또는 추가 장착이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결론적으로, 전자접촉기는 부하의 특성, 특히 사용 카테고리(AC-1, AC-3 등)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정격 전류와 전압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제어 회로 전압, 필요한 보조 접점, 개폐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카탈로그나 기술 자료를 반드시 참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정시 고려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이즈필터 선정시 고려사항 (0) | 2025.04.14 |
---|---|
과부하계전기 선정시 고려사항 (0) | 2025.04.14 |
누전차단기 선정시 고려사항 (0) | 2025.04.14 |
배선용차단기 선정시 고려사항 (0) | 2025.04.14 |
퓨즈 선정시 고려사항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