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이론/베이직이론

스위치의 C접점은 Common (공통)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공통 단자가 평상시에는 B접점(Normally Closed, NC)과 연결되어 있다가 스위치가 작동하면 A접점(Normally Open, NO)과 연결되는 전환 접점을 의미합니다

전기제어 이야기 2025. 4. 14. 11:12

스위치 C접점 (Common, 전환 접점) 이란?

스위치의 C접점은 Common (공통)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공통 단자가 평상시에는 B접점(Normally Closed, NC)과 연결되어 있다가 스위치가 작동하면 A접점(Normally Open, NO)과 연결되는 전환 접점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하나의 공통 단자를 기준으로 평소에는 한쪽(B접점)에 연결되어 전기가 통하다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다른 쪽(A접점)으로 연결이 바뀌어 전기가 통하는 경로가 전환되는 접점입니다.

C접점은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SPDT 스위치는 하나의 입력(극, Pole)과 두 개의 출력(투척, Throw)을 가지며, C접점이 이 입력을 두 개의 출력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C접점의 구성

C접점은 일반적으로 세 개의 단자로 구성됩니다.

  • COM (Common): 공통 단자로, 내부적으로 움직이는 접점에 연결됩니다.
  • NC (Normally Closed): 평상시(스위치 작동 X)에 COM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입니다.
  • NO (Normally Open): 스위치가 작동했을 때 COM 단자와 연결되는 단자입니다.

C접점의 작동 원리

  • 평상시 (작동 X): COM 단자는 NC 단자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COM → NC 경로로 흐릅니다. NO 단자는 COM 단자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 작동 시 (외부 힘/신호 O): 스위치에 외부 힘이나 신호가 가해지면 내부 접점이 움직여 COM 단자와 연결되어 있던 NC 단자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COM 단자는 NO 단자와 연결됩니다. 따라서 전류는 COM → NO 경로로 흐르게 됩니다. NC 단자는 COM 단자와 연결이 끊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 작동 해제 시 (외부 힘/신호 X): 가해졌던 외부 힘이나 신호가 사라지면 스위치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COM 단자는 다시 NC 단자와 연결되며 COM → NC 경로로 전류가 흐릅니다. NO 단자는 COM 단자와 연결이 끊어져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C접점의 활용 예시

C접점은 하나의 스위치로 두 가지 다른 동작을 제어하거나, 신호의 경로를 전환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원 선택 회로: 하나의 전원을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주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시에는 보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신호 경로 전환: 하나의 입력 신호를 스위치 작동 여부에 따라 두 개의 다른 출력 경로 중 하나로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 오디오 신호 선택)
  • 알람 시스템: 평상시에는 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보내다가, 알람 발생 시 다른 경고 신호를 보내도록 전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자동 제어 시스템: 센서의 상태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동작 방향을 전환하거나, 작동 모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수동/자동 전환 스위치: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C접점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C접점의 장점

  • 다기능성: 하나의 스위치로 두 가지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신호 경로를 전환할 수 있어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다양한 제어 로직을 구현하는 데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공간 절약: A접점과 B접점을 별도로 사용하는 대신 C접점 하나로 대체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A접점, B접점과의 관계

C접점은 A접점과 B접점을 하나의 스위치에 통합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COM 단자를 기준으로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B접점과 연결되어 있고, 작동하면 A접점과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C접점을 활용하면 하나의 스위치에서 평상시에는 B접점의 동작을, 작동 시에는 A접점의 동작을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C접점은 다양한 전기 및 전자 회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중요한 접점 방식입니다. 회로의 목적과 요구 사항에 따라 A접점, B접점과 함께 C접점을 적절히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