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규격/전기전자

전기전자 제품 및 설비의 안전은 감전, 화재, 폭발, 과열 등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 분야의 안전 규격은 제품 설계, 제조, 설치,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적용됩니다. 국제적으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표준화 기구는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이며, ISO와 협력하여 일부 표준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조이컨 2025. 5. 6. 09:49

전기전자 제품 및 설비의 안전은 감전, 화재, 폭발, 과열 등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 분야의 안전 규격은 제품 설계, 제조, 설치,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적용됩니다. 국제적으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표준화 기구는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이며, ISO와 협력하여 일부 표준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주요 국제 전기전자 안전 규격 및 관련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국제 표준화 기구 및 표준

  1.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전기전자 분야의 안전 표준을 광범위하게 다룹니다.
    • IEC 62368-1: 오디오/비디오, 정보 통신 기술 장비의 안전 요구사항. 기존의 IEC 60065(오디오/비디오)와 IEC 60950(정보기기) 표준을 통합한 **위험 기반 안전 표준(Hazard-Based Safety Standard, HBSE)**입니다. 에너지원의 수준을 분류하고, 그 에너지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장치(Safeguards) 요구사항을 제시합니다.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충전기, 오디오 장비 등 매우 다양한 제품에 적용됩니다.
    • IEC 60335 시리즈: 가정용 및 유사 전기 기기의 안전.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전자레인지 등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 제품에 대한 안전 표준 시리즈입니다. 각 제품별로 세부 표준(예: IEC 60335-2-24 냉장고, IEC 60335-2-7 세탁기 등)이 있습니다.
    • IEC 60079 시리즈: 폭발성 분위기에서 사용되는 전기 장비. 가스, 증기, 분진 등으로 인해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기 장비의 안전 요구사항을 다룹니다 (방폭 구조 등).
    • IEC 60601 시리즈: 의료 전기 장비의 안전 및 필수 성능.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 기기의 전기 안전 및 환자와 사용자의 안전에 필수적인 성능 요구사항을 다룹니다.
    • IEC 61010 시리즈: 측정, 제어 및 실험실용 전기 장비의 안전 요구사항.
    • IEC 61508: 전기/전자/프로그램 가능 전자 안전 관련 시스템의 기능 안전에 대한 기본 표준입니다. 시스템의 오작동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시스템이 안전 기능을 얼마나 신뢰성 있게 수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합니다.
    • IEC 61000 시리즈: 전자기 적합성(EMC). 전기전자 장비가 다른 장비에 전자기 간섭을 일으키거나, 다른 장비로부터 전자기 간섭을 받아 오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준을 다룹니다. (직접적인 물리적 안전뿐만 아니라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 문제와도 관련됩니다.)

주요 안전 관련 고려 사항 (표준에서 다루는 내용):

  • 감전 보호: 이중 절연, 접지, 안전 차단 회로 등
  • 화재 위험 감소: 난연성 재료 사용, 과열 방지 회로, 단락 보호 등
  • 기계적 안전: 움직이는 부품에 대한 보호, 안정적인 구조 등
  • 열적 안전: 표면 온도 제한, 과열 방지 등
  • 방사능 안전: 유해한 전자기파나 기타 방사선 방출 제한
  • 기능 안전: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이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신뢰성 확보
  • 환경적 요인: 온도, 습도, 진동 등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의 안전 성능 유지

국가별 규격 및 인증

많은 국가들은 IEC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안전 규격을 수립하고 강제 인증 제도를 운영합니다.

  • 유럽 연합 (EU): CE 마킹. 저전압 지침(Low Voltage Directive),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 무선 기기 지침(Radio Equipment Directive) 등 여러 지침의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EN(European Norms) 표준이 이러한 지침 준수의 기술적 근거가 됩니다.
  • 미국 (USA):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표준,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규정 등이 적용됩니다.
  • 대한민국: KC 인증 (Korea Certification).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전기 제품의 안전 및 EMC 등에 대한 안전 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KC 인증 표준 역시 상당 부분 IEC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합니다.